-
[동양일보]21세기 인어공주 이야기라고도 하는 이누도 잇신 감독, 다나베 세이코 원작, 츠마부키 사토시가 츠네오역으로, 이케와키 치즈루가 조제 쿠미코역으로 함께한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를 소개한다. 2003년에 개봉한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는 소소한 삶의 모습들을 불안전한 캐릭터들을 통해 진정한 삶들의 모습과 애정을 그리는 작품이다. 대학생 츠네오는 사교적이며 여자들에게도 인기가 있는 지극히 평범한 대학생이다. 그러던 어느 날 장애를 가진 쿠미코를 만나게 된다. 쿠미코는 세상 밖으로 나올 때 할머니가 미는 유모차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5.17 15:57
-
[동양일보]지난 3월 말,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웃픈 사건이 벌어졌다. 시상을 위해 마이크를 들었던 코미디언 크리스 록(Chris Rock)이 남자 배우 윌 스미스로부터 크게 한 방 맞았다. 물론 생방송 도중에 일어난 일종의 방송사고라고도 할 수 있다. 문제의 발단은 크리스 록의 농담 한마디 때문이었다. 거침없는 입담으로 유명한 그였기에 그날도 수상 후보자들에 관한 이런저런 농담이 이어졌다. 그러던 중, 남우주연상 후보로 참석한 윌 스미스의 부인 제이다(Jada)를 보고서는 “을 기대할게요”라고 농담을 건넨 것이다. 왜냐하면 제이다가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5.16 18:28
-
[동양일보]첫째, 충북 단양의 도담구곡(島潭九曲)을 알으십니까? 지금 도담삼봉은 단양의 대표적 상징적 명승이다. 이세구(李世龜1646∼1700)는 지금 단양의 도담삼봉 상류와 하류에 있는 9개의 명승에 대해 주자(朱子)가 지은 무이도가(武夷棹歌)의 운에 맞추어 9개의 한시를 지었다. 왜 그랬을까?둘째, 이렇게 무이구곡가의 운에 맞추어 9개의 산수 명승을 읊은 한시를 구곡가계한시(九曲歌系漢詩)로 명명하는 것이 학계의 관행이다. 즉 구곡가 계통의 한시라는 뜻이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무이도가에 대한 숭모계승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5.15 14:56
-
[동양일보]올해 어린이날은 여러 가지로 각별한 의미를 가진다. 그중 하나가 우리나라에서 어린이날이 시작된 지 100년을 맞은 해라는 점이다. 어린이날에 맞춰 우리 교육청에서도 ‘봄꽃처럼 피어난 행복한 세상’이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행사를 기획하고 추진했다. 수업활동, 학생자치 활동, 홍보 및 행사 활동 등 여러 분야의 지원과 안내가 알차고 뜻깊었다. 나도 유관 부서장으로서 유치원 관련 행사와 어린이 존중 관련 챌린지를 준비하고 진행하는 데 참여했다. 행정기관에 근무하면서 어린이날을 다소 멀게 느꼈었는데, 올해는 달랐다. 어린이날 행사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5.11 17:17
-
[동양일보]자기주도적 학습은 미래 교육이 나아가야 할 최고의 학습 방법임에 틀림이 없다. 그래서인지 유치원 아이들이 다니는 학원부터 초중고 학생들이 다니는 학교와 학원까지 모두들 너나없이 자기주도적 학습을 들먹인다. 아마도 자녀 양육에 지친 학부모들에게, 학생 교육에 지친 교사들에게는 자기주도적 학습이 마치 아이들이 스스로 알아서 공부한다는 달콤한 말로 들리는 것 같다. 그러나 이 말의 정확한 의미를 알고 보면 자기주도적 학습이 잘못 적용되거나 악용될 때 얼마나 큰 피해를 주는지 상상하기조차 어렵다. 쉽게 말하면 초등학교부터 고등학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5.10 15:19
-
[동양일보] ‘천장이 돈다’, ‘머리가 핑 돈다’, ‘어찔하다’, ‘균형이 잡히지 않는다’ 등 어지러움 증상을 표현하는 단어는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어지러움은 기본적으로 균형을 담당하는 기관인 내이(內耳) 그리고 뇌간(腦幹)과 소뇌(小腦) 기능 장애가 원인이 된다. 대표적으로 ‘양성 돌발성 체위성 현훈’, ‘메니에르병’, ‘전정 신경염’ 등이 내이와 관계되어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병이다. 특히 일정 자세 변화에 의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짧은 회전성 어지러움을 ‘양성 돌발성 체위성 현훈’이라고 하는데, 이를 보통 ‘이석증(耳石症)’이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5.09 20:00
-
[동양일보]사실 조직을 운영함에 있어서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는 것은 모두 다 공감하는 사실이지만,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변화를 끌어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최근 하버드비지니스리뷰 잡지에서는 팀이 변화를 수용하도록 설득하는 방법(Persuading Your Team to Embrace Change)에서 능동적인 관성을 길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먼저 Foot in the door technique는 작은 요청에 먼저 동의하도록 하여 큰 요청에 동의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략을 말한다. 요청하는 사람과 요청 받는 사람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5.05 20:43
-
[동양일보]3월말에 폴란드를 방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푸틴은 권좌에 눌러앉을 수 없다”며 사실상 러시아의 정권 교체를 시사한 데 이어 4월말에 우크라이나 키이우를 방문한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 마저 우크라이나 전쟁 목표를 “다시는 전쟁을 일으키지 못하도록 러시아를 약화시키는 것”이라고 한걸음 더 나갔다. 이로 인해 미국 내에서 확전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지난 토요일 포린 폴리시에 게재된 이스라엘 라이히만 대학교(IDC Herzliya)의 드미트리 아담스키( Dmitry Adamsky) 교수의 기고문에서 “(우크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5.03 18:18
-
[동양일보]세월이 가면 많은 것들이 변한다. 알게 모르게 많은 것들이 사라지고 새로 생겨난다. 그러한 현상들은 오래전부터 세대에 세대를 걸쳐 일어난 일들이다. 이상한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변화일 뿐이다. 만일 그러한 변화가 없다면 세월이 지나감에 따라 갖는 사람들의 추억도 것도 별로 없을 것이다.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것들에 대한 아련한 기억들 그리고 그에 대한 그리움은 사람들의 마음속 정서로 깊게 남아 있다. 많은 변화 중에 자연에서 사라지는 것이 제일 많을 것이다. 그것은 자연 스스로 자초하기 보다는 인간의 손에 의해 그렇게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5.02 19:31
-
[동양일보]한 방면의 일이나 연구를 오래 하다보면 흔히들 대상을 닮아간다고 한다. 어느 날 나의 스승을 사진으로 보던 중 선생님의 물결 머리와 얼굴 모습이 회충의 알과 겹쳐 보인 적이 있다. 단백막의 파동치는 모습이 선생님의 모발과 묘하게 닮아 있었던 것이다. 은발에 빛나던 멋진 모습의 선생님을 회충의 알과 비교하여 송구스럽지만, 나의 생각만은 아니었던 듯 그때 내 말에 동조한 동료와 함께 한참을 웃었기 때문이다.북한 병사의 뱃속에서 나온 회충 때문에 북한군의 위생상태에 대하여 우리 온 국민이 알게 되었던 적이 있다. 병사는 우리나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5.01 18:14
-
[동양일보]요즘 우리 산하는 울긋불긋 온갖 꽃으로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봄날의 따사한 기운은 만물을 소생시키고 새 생명을 낳고 있어 밝고 맑은 에너지가 온 누리에 가득하다. 자연이 준 축복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최근에 경제 성장으로 다양한 조경과 정원 만들기로 경관이 개선되어, 전국 어느 곳이나 온갖 꽃들로 물들어있으며 곳곳에 조성된 걷기 길에는 가로수로 꽃나무가 심어져 있어 쉽게 꽃길을 걸을 수 있다. 어디를 가든 피고지는 꽃들을 보며 감탄하는 사람들을 만나는 것은 어렵지 않은 일이다.우리나라의 국토가 얼마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4.28 15:48
-
[동양일보]모니터링은 각종 사업의 목적과 결과를 성과지표를 통해 주기적으로 진단하는 방식이다. 사업 시행 시, 사업추진과 전략적용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계획에서 설정한 세부목표와 성과들이 얼마나 달성되고 있는지 진단하고, 원활히 진행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도시재생사업에 있어 모니터링은 제도적으로 도시재생전략계획 가이드라인 상에서 재생사업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해당 도시의 여건과 도시재생 목표에 부합하는 평가지표를 설정하고 성과관리 방안을 제시하도록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4.27 17:20
-
[동양일보]인간의 권리 또는 인간으로서 권리를 뜻하는 인권(人權)은 인류 역사와 함께해온 오래된 개념이자, 지금까지도 계속 관심을 끄는 새로운 개념이기도 하다. 인간이 인간으로서 자의식을 갖게 된 이후, 그가 인간이라는 이유만으로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는 물론 처음부터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게 분배된 것은 아니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사회는 가족에서 씨족으로 확대되는 비교적 작은 규모에서 출발했지만, 정착 생활이 가능해지면서 형성된 잉여재산은 지배와 피지배를 가르는 신분 또는 계급사회의 출현을 가져왔다. 그 과정에서 전쟁과 약탈,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4.26 18:23
-
[동양일보]최동훈 감독의 2015년 작품이며 천만 신화를 쓴 을 소개한다. 이 작품은 2014년 8월 27일 크랭크인해서 이듬해 1월 31일까지 약 5개월간에 걸쳐 촬영이 이루어졌으며 중국 상하이와 한국을 오가며 로케이션을 했다. 주요 배경인 경성부 거리는 합천군 영상테마파크에서, 일본군과의 전투 장면은 황매산에서 촬영이 되었다. 그리고 영화 속 친일파 강인국의 저택 장면은 서울 종로구에 자리한 가회동 백인제 가옥에서 촬영을 했다. 백인제 가옥은 영화 개봉 후 약 3개월 후인 2015년 11월 18일 시민에게 전면 개방이 되기도 했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4.21 17:32
-
[동양일보] 이스라엘은 AD70년경 로마의 침략으로 나라를 빼앗긴 뒤 1945년 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1900년 가까이 전 세계를 떠도는 디아스포라(이국땅을 떠돌던 유대인)신세였다. 2차 대전이 끝날 무렵 영국의 도움으로 고국에 돌아갔으나 그 곳에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뉴스 시간에 자주 접하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충돌은 고국을 찾아간 유대인과 이미 살고 있던 팔레스타인 사람들 간의 분쟁이다. 이것이 전체 아랍계통의 국가들과 이스라엘간의 싸움으로 확대되어 1948년,1956년,1967년,1973년 4번의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4.20 16:07
-
[동양일보]어느 코미디언의 우스갯소리를 들여다보려 한다. 자신은 싱글이어서 잘은 모르겠지만, 아이의 존재는 방귀와 같다는 것이다. 내가 뀐 방귀는 참을만하지만 남이 뀐 방귀는 참기 힘든 것처럼, 그 아이를 자식으로 둔 부모에게는 그 아이가 참을만한 존재이지만, 타인에게는 참기 어려운 존재이기 때문이란다. 귀하디귀한 우리의 아이가 누군가에게 참기 힘든 방귀가 될 수 있다니 부끄럽기도 하고, 짠하기도 하다. ‘노키즈존’이 생겼다는 것이 항간에 화젯거리였던 것을 상기시켜본다면 어린이의 존재에 대해서 잠시나마 생각해 봄직하다. 어린이의 권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4.19 16:40
-
[동양일보] 첫째,“박학다식해야 고도(高度)의 식견이 확립되며, 고도의 식견이 고도의 학문과 고도의 인생을 보장한다. 이것이 학문과 인생의 성공비결이다.” 이는 최현구의 문집 『난사집』의 용어 하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60)회 글에서 언급했었다. 최현구(崔鉉九1768~1840)는 1799년3월19일 금강산 만폭동일대를 유람하고, 「동유록」에 먼저 문장으로 그 여정과 관광소감을 기술했다. 즉“백룡담부터 대룡담(大龍潭)까지 9개 담(潭)을 지나갔다”“大龍潭”이라 표기했다. 그런데 구곡담을 시로 쓴 부분은 “화룡담(火龍潭)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4.18 17:36
-
[동양일보]2022년 3월 충북의 고용률은 전국 2위를 기록했다. 전국평균 67.8%에 그치고 있으나, 충북은 71%로 나타났으며, 실업률 역시 2.6%로 전국평균 3.0%에 비해 0.4%p가 낮아진 4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른 광역시도와 비교해도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그래도 고용률은 높아지고 실업률은 낮아지고 있어, 충북의 고용지표는 매우 우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용률을 견인하는 산업으로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서비스업(5.8%), 건설업(5.0%),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7.5%), 사업, 개인,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4.17 19:32
-
[동양일보]어제부터 내리는 비가 오늘까지 이어서 내리고 있습니다. 봄답지 않게 무덥던 날씨가 한풀 꺾이고 쌀쌀한 기운마저 느껴집니다. 이 비가 그치면 다시 기온이 올라 천지에 꽃들은 더 무성히 피어날 것입니다. 내리는 비를 바라보다가 문득 돌아가신 신영복 선생의 글귀가 떠올랐습니다. “돕는다는 것은 우산을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비를 맞는 것이다.” 비가 내리는데, 우산을 들어 비를 가려주는 것이 돕는 것이 아니라는 말씀은 의아한 점이 없지 않습니다. 선생이 돕는다는 것을 ‘우산을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비를 맞으며 걸어가는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4.14 16:38
-
[동양일보] 디지털 리터러시라는 말을 들어본 사람들이 많지 않을 것이다. 리터러시라는 말은 사전에서 찾아보면 ‘읽고 쓰는 능력’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문자화된 기록물에서 정보를 취득하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미디어 리터러시란 미디어에서 나오는 정보를 취득 및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데 그 개념이 점차 확대되어 현재는 모든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매체를 활용하여 정보에 접근, 분석, 평가 등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아울러서 말하기도 하며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고 미디어를 건강하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하기도 한다.
동양칼럼
동양일보
2022.04.13 20:38